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81

[ 수련 96 일째 / 세번째 습관 4 일째 ] 어제와 같이 호흡이 재미있다. 2009년 2월 6일 금요일 어제와 같이 호흡하는 것이 매우 재미있었다. 오늘은 호흡하는 코 근처를 관찰한다는 느낌으로 해서인지 몰라도 호흡을 하다보니 콧구멍이 2~3배즈음 커진것같이 느껴졌다. 그럼에도 억지로 호흡을 늘이려고 하거나 하지않고 자연호흡 상태에서 호흡하는 데만 집중하려고 노력했다. 여전히 호흡의 들숨과 날숨의 간격은 다른때와 별달리 차이는 없는것 같다. 기껏해야 4~5초 호흡(둘숨 2초, 날숨 2초정도)즈음인 느낌임에도 점점 호흡이 깊어져 분명 내 가슴과 배가 오르락 내리락하는 느낌은 있으나 호흡한다는 느낌이 희미해질 때도 있을 정도였다. 잡념도 거의 들지않고 역호흡이나 입으로 호흡을 하려고 하는 것은 호흡하면서 한번도 없었다. 다른때에 비하면 한두번 정도씩은 했을텐데 말이다. 오히려 이때.. 2009. 2. 11.
[ 수련 95 일째 / 세번째 습관 3 일째 ] 묵좌식상(默坐息想)을 시작하다. 2009년 2월 5일 목요일 드디어 묵좌식상을 시작해보게 되었다. 그동안은 그저 자리에 앉아 가만히 한 곳을 쳐다보며 잡념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것을 꾸준히 관찰하는 단계였다. 이때는 호흡에는 아무런 신경도 쓰지않고 거칠어지면 거친대로 내버려두고 깊어지면 깊어지는 대로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 상태였다. 묵좌식상은 한국 단학회 연정원에서 흔히말하는 '연정 16법'중 제 1법인 드디어 이때부터 호흡수련에 들어가기 시작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연정원 홈페이지 를 확인하면 될 듯하고 그동안에 했던 수련은 이 묵좌식상에 들어가기 위해 잠깐 맛을 보듯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방법은 실로 간단하다면 간단하다고 할 수 있다. 1. 자세를 바로 잡고 눈을 감는듯 마는듯 해서 코끝의 연장선상의 한 지점을.. 2009. 2. 11.
[ 수련 93 ~ 94 일째 / 세번째 습관 1 ~ 2 일째 ] 또다시 시작하다. 2009년 2월 3일 ~ 2009년 2월 4일 계속된 실수를 맛보고는 있지만 거듭 생각해보면 그럼에도 3번째 습관까지 오지않았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기상에 대한 문제만 없었다면 지금즈음은 다섯번째 습관정도를 하고있지 않을까 생각하니 기상문제만 해결한다면 진도가 빨라질수도 있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마음을 다잡고 다시금 노력하자. 아침에 기상시간을 5분 빨리하고 세번째 습관의 시간을 5분정도 늘였다. 1. 첫번째 습관 - 하루에 1시간씩 걷기 2. 두번째 습관 - 규칙적 기상(1~2일째) - AM 6:20 기상 3. 세번째 습관 - 정신의 대청소 + 우선 앉기(1~2일째) - 우선 앉기(20분) 2009. 2. 11.
[ 수련 80 ~ 92 일째 ] 거듭되는 실패들... 2009년 1월 21일 ~ 2009년 2월 2일 이 기간에 여러번 실패를 맛보았다. 사실 1번째, 3번째 습관은 아무런 문제점이 없으나 2번째 습관인 '규칙적 기상'에서 계속되는 실패를 맛보았기 때문이다. 9일동안 잘 해나간 날도 있었지만 하루만에 실패하는 날들이 계속 반복되었다. 다시금 의욕상실.... 휴... 2009. 2. 11.